“농촌 사회적기업·사회적경제 도입해야”
“농촌 사회적기업·사회적경제 도입해야”
  • 류창기 기자
  • 승인 2019.12.02 13: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각 부처간 협업과제 도출 논의 필요
농특위, 사회적경제 활성화 도농상생 토론회
지난달 22일 농특위가 사회적 경제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달 22일 농특위가 사회적 경제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청와대 내부에서 생활협동조합 출신 사회적경제 비서관이 임명됨에 따라 지역 농촌사회에도 사회적 경제 원칙에 입각한 사회적기업들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 위원장 박진도)는 지난달 22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김정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전국사회적경제위원장)과 공동으로 ‘농어촌 지역의 사회적경제, 어떻게 활성화 할 것인가’를 제목으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농어촌에 사회적경제를 접목시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마련된 이번 토론회에는 농특위 박진도 위원장, 김정호 국회의원, 김현권 국회의원과 농특위 위원, 시민사회단체, 학계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날 기조발제를 맡은 유정규 의성군 이웃사촌지원센터장은 ‘농어촌 지역의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해 “시장경제로 해결하지 못하는 농어촌의 교육, 문화 복지 서비스 수요를 지역주민 공동체가 나서서 풀 수 있는 지역순환경제 구조가 중요하다”며 “사회적 경제를 농어촌 정책의 추진주체로 상정하기 위해 각 부처간 협업과제를 도출해 관계 부처와 논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구체적인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으로는 추진주체의 발굴 및 육성, 지역자원의 연계 강화, 유통 및 판로개척 등을 제안하고 추후 농특위 내에서 논의를 성숙시킬 것을 요청했다.

이어서 농어촌과 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경제 사례가 발표 되어 도농의 상생을 도모하는 연계 방안까지 논의가 전개됐다.

권혁범 전남 영광 여민동락 공동체대표는 협동조합 방식으로 운영되는 여민동락 품앗이 학교, 장암산 마을학교, 모싯잎 작목반과 떡공장, 동락점빵 사회적협동조합, 작은학교 살리기, 마을교육공동체 등을 소개했다.

권 대표는 “복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된 일이 점차 농촌의 경제, 교육, 문화 등 모든 분야의 위기 해법으로 확장됐다”며 “통합적 관점에서 사업이 추진되어야 하고 지역에서도 풀뿌리 주민자치조직과 공동체 등이 구성돼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은혜 전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도 ‘도시와 농촌이 상생하는 사회적 경제 발전 방향’이라는 제목으로 농촌과 도시상생을 위한 사회적경제 활성화 사례를 제시했다.

이에, 농특위 손우기 사무관도 “최근 청와내 내부에 사회적경제 비서관이 신설됨에 따라 지역 농촌단위에서 농협을 대체할 수 있는 사회적 협동조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청와대 직속 농특위도 사회적 협동조합을 노인 돌봄 분야와 농촌 지역에 뿌리 내릴 수 있도록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