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보복 장기화 농업계도 비상
일본 경제보복 장기화 농업계도 비상
  • 조형익 기자
  • 승인 2019.08.02 2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자·농기계 등 농자재 분야 국내 개발 및 수입선 다변화 필요
양파 44.7%· 농기계 엔진 43% 일본에서 수입, 대체 개발 시급
文대통령, “피해 최소화 위해 지원 강화”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는 등 경제보복이 장기화 되면서 농업계도 비상이 걸리고 있다. 타산업과 마찬가지로 농업분야 역시 일본에 수출 및 수입에 대한 의존도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양파, 파 종자 등은 일본에 대한 수입의존가 높다. 2016년부터 올 현재까지 양파 종자 수입량을 보면 올 총 146.5톤에 달한다. 이 가운데 일본에서 수입이 65.5톤으로 가장 많다. 44.7%에 달한다. 이어 이탈리아 29.9톤, 터키 14.3톤, 중국 13.9톤 순이다. 같은 기간 파는 총 225톤이 수입됐으며 일본에서 38.6톤을 수입했다.

이러한 가운데 종자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이 속속 진행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올해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총 200억원의 예산을 투입, 근채류, 박과, 가지과 등 10작목에 대한 육종자원 개발에 나선다. 이를 통해 수요자 맞춤형 육종자원을 대량, 신속하게 발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농진청은 대학, 지자체와 종자산업계 등 총 21개 산학연이 협업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앞서 농진청은 2005년 농작물 대외 로열티 대응 방안을 추진해 딸기와 화훼류를 포함한 주요 로열티 지불 대상작물 국산품종 개발에 성공을 거둔 바 있다. 특히 딸기의 경우 2008년 9.2%에 불과하던 국산 종자가 지난해 94.5%까지 확대됐다.

특히 지난해 열린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일본 컬링 여자대표팀이 경기 중 먹은 국산품종 딸기(설향)가 일본 것 보다 맛이 좋았다고 말한 이 후 일본과의 일명 ‘딸기전쟁’에서 승리한 전략적 딸기 육종과정이 이슈로 부각된 바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양파 등 원예분야 육종이 민간에 의존하고 있어 이를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민간육종가는 “그동안 양파 조생종에 대한 국산화는 어느 정도 이뤄졌지만 중만생종은 아직도 수입에 의존도가 높은 편이기 때문에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국내에서 개발된 종자에 대한 품질 및 신뢰를 높일 수 있도록 농정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 종자생명산업과 관계자는 “일본의 양파 등 주요 종자에 대한 수입 규제 강화에 대비, 제3국을 통한 대체 수입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그동안 정부 및 민간에서 육종했던 국산 종자를 확대하는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편 트렉터 등 주요 농기계 부품의 국산화도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 보급 및 수출용 농기계의 엔진 등 주요 부품은 일본산 제품이 43%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관계자는 “일본이 아직까지 규제 등에 대한 얘기가 없지만 중국, 유럽 등 수입선 다변화 및 개발된 국산제품을 사용하는 방안을 논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일 긴급 국무회의를 개최하고 “일본의 경제보복조치에 대해 상응하는 조치를 단호하게 취해 나가겠다”며 “소재·부품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공장 신·증설, 금융지원 등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지원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