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과 품목 다양화로 이상기상 대비할때
품종과 품목 다양화로 이상기상 대비할때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9.05.13 10: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먼미래 대책보다 현재 이상기후 적극 대응해야
인프라구축·품종·재배기술 개발 등 피해경감

2100년이 되면 알프스 빙하의 90%가 사라질 것이라는 기사를 본 일이 있다. 하지만 농업현장에서는 세대를 뛰어 넘는 먼 미래의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기보다 현재의 이상기상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우리는 지난해 연중 이상기상으로 어느 때보다 힘든 한 해를 보냈다. 특히 폭염은 피해가 컸던 2016년의 기록을 갱신하면서 1973년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그럼에도 햇빛 데임 피해(일소 피해)가 2016년보다 크게 심하지 않았는데, 이는 지난 경험을 바탕으로 피해 발생 초기에 미리 대처한 결과이다.

이상기상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여러 전문가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이상기상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전략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크게 3가지 방향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제도 개선 등 인프라 구축, 작목과 품종 개발, 재배기술 개발이다. 인프라 구축은 ‘농업기후 예측 고도화’와 ‘농작물재해보험 개선 및 확대’를 들 수 있다. 기상 예측의 신뢰도를 높이고 보다 장기적인 예측이 가능하다면 체계적인 사전 대책 수립으로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농작물재해보험은 2001년 처음 사과, 배 시범사업으로 시작돼 2017년 기준 53개 작목으로 확대되었으며, 2022년까지 67개로 확대하고, 농가의 수입(收入)을 보장해 주는 수입보장보험은 6개 품목에서 12개 품목으로 확대한다는 농식품부의 발표가 있었다.

아울러, 작목, 품종의 다양화도 중요하다.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투자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한 곳에 집중해서 투자하지 말고, 여러 곳에 나누어 분산 투자하라고 할 때 자주 인용되는 말이다. 과수 재배에서도 이와 다르지 않다. 사과와 배 등 대부분의 과수 결실에 필요한 꽃가루를 얻기 위해서는 20% 이상 다른 품종을 재식해야 한다. 같은 품종의 꽃가루로는 결실이 안 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농가들이 꽃가루를 제공하는 품종(수분수)을 재배하는 대신 꽃사과, 인공수분 방법으로 이를 대체하고 있다. 즉, 다양한 품종을 재배하는 대신 단일품종만 재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농가, 지역 간에 품종의 다양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단일 품종의 비중이 매우 높다. 사과는 2018년 현재, 후지의 비중이 73.5%, 배는 신고 86.4%, 포도는 캠벨얼리 52.7%이다. 그나마 복숭아는 다른 작목에 비해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품종을 다양화한다고 이상기상 피해를 줄일 수 있을까 생각할 수도 있다.

올해 봄철 배 저온피해 상황을 보자. 신고 품종은 피해가 심했던 반면 화산, 추황배의 피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품종 간 이러한 차이가 나는 이유는 배라는 과일이 꽃이 활짝 피었을 때 저온에 가장 약한 이유도 있지만, 주 품종인 ‘신고’ 품종이 상대적으로 꽃이 빨리 피기 때문이다. 이상기상에 대한 이러한 품종 간 차이는 다른 이상기상(폭염, 태풍, 우박 등)에서도 어느 정도 나타난다. 작목이 다르다면 이러한 차이는 더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다.

새로운 품종과 작목의 다양화를 위해 농촌진흥청은 플럼코트, 플루오트 등 새로운 과종을 개발하고 있으며, 수입이 많은 체리, 블루베리 등에 대한 품종개발과 재배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올리브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가능한 아열대과수 선발에 관한 연구도 추진 중에 있다. 아울러, 신품종을 공동출하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수년째 진행하고 있다.

사과, 배, 복숭아, 포도, 감귤, 감 등으로 주요 재배작목 수가 적고, 일부 작목의 경우 단일 품종 비율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이상기상 대응을 위해 작목과 품종을 다양화하는 것은 다소 시간이 걸리는 일이긴 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대응방안이라고 생각한다.

■한점화<농진청 원예원 과수과 농업연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