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 소비자 지향적·시장 중심적인 신품종 보급돼야
과수, 소비자 지향적·시장 중심적인 신품종 보급돼야
  • 조형익 기자
  • 승인 2019.04.08 14: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품종 보급 1~2년 후 관리 절실 … 지역별 숙기 감안 보급필요
정부, 2020년부터 군인급식에 과일 추가
농식품신유통연구원, 과수산업발전전략 토론회 개최
한국과수농협연합회 박철선 회장이 ‘소비자 지향적 과수산업발전 전략’이라는 특별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한국과수농협연합회 박철선 회장이 ‘소비자 지향적 과수산업발전 전략’이라는 특별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수입과일 증가와 소비침체로 위기에 놓인 과수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소비자 지향적이면서 시장 중심적인 신품종이 보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신품종의 육성과 판매도 기존 품목과는 다른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마련하면서 품종 보급후 사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지난달 29일 서울 aT센터에서 ‘소비자지향적 과수산업 발전전략' 주제의 특별 토론회가 농식품신유통연구원(원장 김동환) 주최로 개최됐다.

토론회 앞서 한국과수농협연합회 박철선 회장(충북원예농협 조합장)은 인사말을 통해 “과수산업 미래 운명은 소비자의 선택에 달려 있다”며 “고령화 일인가구 증가는 과일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편의성 건강지향으로 소비패턴은 변화 중에 있는 점을 감안, 과수산업의 위기를 스스로의 문제로 인식해 해결해 나가려는 의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음 은 토론자의 주요 발언내용.

△강상조 (한국과수협회 회장)= 신품종 보급 확대 위해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등이 주체가 되어 이끌어 갈 필요 있다. 신품종이 잡과로 빠지지 않도록 가격을 결정하는 경매사, 대형유통업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학교급식 외 군인급식 등에 과일을 확대가능성을 모색하고 편의성, 기호도 등으로 국산과일의 비중을 예상해 수입과일 비중의 정체 또는 저하시키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용선 선임연구위원= 신품종은 소비자 지향적 방향으로 가야하고 신품종의 육성과 판매는 기존 품목과는 달리 새로움에 대한 분위기를 띠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과수소비확대를 위한 전략으로 수입과일 선호요인을 분석할 때 품종, 당도 등이 중요하고, 고급화와 다양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김경상 (울산시농업기술센터 과수담당 팀장)= 신품종 보급시 과수 특성상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보급 1~2년 후 관리가 소홀해 지는 경향이 있는데, 예산 등을 늘려서라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아울러 지역별 전문품목육성단지 확대와 엄격한 품질 관리를 해야 한다.

△방지웅 (한국과수농협연합회 상무)= 신품종 육성 시 단가 차등의 경우 소비자에게 역효과 가능성이 있으므로, 품종이 바탕이 된 보급 판매가 절실하다. 품질의 균일화는 유통업체측 관점인 반면, 생산자 관점에서는 선별포장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를 커버할 수 있어 고객맞춤형 상품 개발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현 (전남대학교 교수)= 샤인머스캣과 같은 사례에서 벤치마킹할 부분들이 많이 있다. 전용실시권을 줄 때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수산업의 확대를 위해서는 고수에 대한 인큐베이팅팜 등 필요하다.

△장대운 (대구경북능금농협 유통사업본부장)= 썸머킹, 아리수와 같은 신품종의 재구매율이 떨어지고 있다. 지역별 숙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역별 숙기를 감안, 보급해야 한다. 신품종에 대해 중소과 중심으로 취급할 경우 농가 소득 제고가 가능하다. 농가는 연중 6개월 정도 농사를 짓고 있는데, 이들이 자가 영농 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김기주(농림축산식품부 원예경영과 과장)= 신품종이 잡과 취급을 받고 있는데, 이것은 돈이 안되는 것으로 취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산농가는 신품종의 특성, 재배방법 등을 알릴 필요가 있고, 소비자에게는 신품종 과수를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군인급식은 국방부와 현재 검토 중으로 2020년부터 도입 추진을 계획하고 있다.

△김동환(농식품신유통연구원장)= 소비패턴 변화에 대응한 소비촉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통구조변화에 따른 신시장을 개척하고 국산과일의 체계적인 홍보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패러다임이 생산자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자도 조직화 및 민관의 거버넌스 체계를 확립하여 생산자 이익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