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산업 확대경”
“원예산업 확대경”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8.09.27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PC, 운영활성화 위한 선별비 예산확대・정책지원 시급
고용정책 변화 충격 고스란히 … ‘운영까지 휘청’
농협APC협의회 “경영비 상승 부담 농가와 소비자에 전가위험”

농업인 노령화 추세로 APC(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지만 운영부담은 가중되고만 있어 정책과 예산편성 측면에서의 지원이 시급해 보인다.

현장은 현재 APC가 버텨내는 운영비 부담은 농산물 가격인상으로 이어져 출하자와 소비자에 부담이 전가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APC출하자는 고령농이거나 개별 브랜드화 및 상품출하가 어려운 농민들로 APC의 시설을 빌리고 있다는 점에서도 정부측면의 지원확대 당위성에 힘을 싣는다.

과수거점APC는 현재 총 22개소가 운영중이다.

정부가 2017년까지 목표했던 30개소에는 크게 못 미친 결과다.

이는  농산물가격 하락, 시설 노후화와 운영비 급상승 등 APC운영 상 발생하는 애로사항이 많은반면 모든 손실을 해당농협이 감내해야 하면서 기피사업이 되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지난 11일 개최된 농협APC운영협의회(회장 윤수현, 거창사과농협 조합장) 제3차 운영위원회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불과 5년 전에 비해 내년 최저임금은 171.8%가 되었고, 공동선별단가는 121.3%로 크게 뛰어올랐다.

이에 생산비 증가억제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는 공동선별비 지원사업을 110억으로 신청했으나 기획재정부는 작년과 동일한 80억8천만원으로 동일하게 편성했다.

한편 APC와 관련된 내년예산은 산지유통종합자금은 5628억원(465억 감액), 산지유통시설지원 310억(38억 감액) 등으로 축소됐다.

인건비상승도 문제지만 내년부터 시작하는 주 52시간 근무제도 APC에겐 고용충격으로 다가올 것이라는 전망이다.

거점APC 센터장 A씨는 “농산물은 수확기나 명절 등 물량이 집중되는 시기가 있다는 산업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며 “농업계도 IT업계처럼 52시간 근무제를 고수하는 것이 아닌 근무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센터장 B씨는 “지역 내 인력으로는 물량을 방어하지 못해 다른 도에서 일꾼을 데려오기까지 해야 한다”며 “고용정책이 변하며 발생하는 경영비 부담이 너무크다”고 호소했다.

게다가 시한폭탄과 같은 시설개보수비 발생은 공통적인 운영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B씨는 “10년이상 운영하다 보면 선별기, 지게차, 저장고 등 고장나지 않는 곳이 없다”며 “교환이 필요해도 수리비용만 수천만원부터 수억까지 발생해 어떻게든 근근히 버티고 있는 상태”라고 애로사항을 토로했다.

채소 유통을 위해 APC운영이 필수라는 조합장 C씨는 20년 이상 노후화된 경우 시설현대화사업과 관련 지원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C씨는 “APC 보유 저장고 높이가 6m”라며 “7m이상 확보되지 않으면 큐어링 시스템이나 기기도입이 불가능해 허물은 후 저장고 시설을 다시 건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시장 유통구조 변화에 따라 활용이 불가능한 시설이 발생하거나 고질적으로 앓는 저장시설 부족도 문제다.

C 조합장은 “유통물량은 늘어나는데 반해 벌크유통을 위한 기계를 들일자리조차 없다”며 “매년 저장고 수천평을 빌리는 것이 일상이며 보관할 시설이 부족해 수매를 포기하는 농협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