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달 27일 열린 산림청 국정감사에서 핵심 쟁점문제는 올해도 소나무 재선충병 이었다. 이방호 의원(한나라당)은 “정부는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정책으로 지난 1999년 이전까지 단목벌채 후 소각, 또는 파쇄방법을 사용해왔으나 1997년 이후 지자체 구조조정으로 인한 인력축소와 방제예산 부족으로 인해 적절한 대응이 실패하면서 피해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2000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단목벌채 후 훈증처리로 전환했다”며 질타했다. 강기갑 의원(민주노동당)도 “참나무시들음병(국내발생), 푸사리움가지마름병(외래유입추정)이 신규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이들 병해충에 대해서도 시급히 방제대책이 강구돼야 한다”며, “지난해 6명을 확충했음에도 15명 불과한 산림병해충관련 연구인원 보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김낙성 의원(국민중심당)은 “소나무 재선충병이 남쪽으로는 남해·제주까지, 북쪽으로는 경북 포항·안동을 지나 강원도까지 확산됨에 따라 백두대간을 위협하고 있는데, 소나무 재선충병 확산 방지를 위한 대책이 무엇이냐”고 추궁했다. 이어 산림조합중앙회에 대한 국감에서는 회원조합의 부실 대출과 수익사업 손실 등 방만한 경영으로 인한 부실화 조합문제가 집중 거론됐다. 홍문표(한나라당) 의원은 "지난해 기준으로 자본잠식 조합이 17개로 186억 원의 자본잠식 규모를 기록했으며, 최근 3년간 부실조합 감사결과에서도 부실대출로 인한 사고금액이 8억5000만원에 이르고 있다"며 추궁했다.한편, 이날 산림청 국감에는 절반 가까운 의원들이 참석하지 않아 텅빈 국감장이 관계자들을 무색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