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매스 연 130만톤 생산
국내 바이오매스 연 130만톤 생산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11.25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림과학원,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

 
최근 화석연료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가 대두되면서 세계적으로 바이오 에너지를 산업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윤영균 원장)은 우리나라 산림을 대상으로 바이오매스 자원 총량과 실제 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지도 정보를 지난 20일 발표했다.
산림 바이오매스 지도는 △우리나라 산림의 총 바이오매스 저장량 △연간 바이오매스 생장량 △관리가 가능한 지역에서의 바이오매스 자원량 △목질 바이오매스 자원량(뿌리, 잎 제외) △상업적 벌채 및 숲가꾸기에서 나오는 바이오매스 자원량 등의 세부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연간 바이오매스 자원량의 변화를 지방자치단체별로 볼 수 있도록 해 정책 결정자의 의사결정에 유익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우리나라 산림의 총 바이오매스 자원량은 약 8억톤, 이중 매년 상업적으로 벌채해 제재목 등으로 이용되고 남은 목질부 바이오매스는 연간 약 71만톤 정도이며, 숲가꾸기를 하여 원목으로 이용되는 양을 제외한 바이오매스 약 60만톤, 총 약 130만톤 정도의 바이오매스를 생산, 공급이 가능하다.
이를 석유에너지로 환산하면 약 60만TOE(석유에너지 환산 단위)로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귀중한 신재생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1년 서울시의 에너지 소비량이 1,550만TOE, 시민 1인당 연간 에너지 소비량이 1.55 TOE 인 것과 비교하면, 서울시 총 에너지 소비량 대비 산림 작업(상업적 벌채, 숲가꾸기) 시 나올 수 있는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시민 약 38만명(4%), 4인 가구 경우 약 9만 5천 세대가 이용할 수 있는 양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손영모 박사는 “이제는 잘 가꾸어진 산림을 주변 생활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각을 바꾸어야 할 시점”이라며, “이번에 제공하는 산림 바이오매스 지도가 기후변화의 중요한 이슈인 탄소중립, 탄소상쇄 등의 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