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간 70% 단축 육묘품질은 향상

그동안 수경재배 딸기 자가 육묘시 육묘용 트레이에 코코피트 충진 관련 노동부하가 매우 높고 준비기간이 길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협력단은 유휴노동력 부재에 대한 현장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압축성형 코코피트 실린더를 개발, 농가에 보급하여 생산비 절감효과를 거두고 있다.
협력단은 담양군, 화순군과 강진군의 딸기농가를 대상으로 개발한 코코피트 실린더를 보급해 트레이 셀의 코코피트 충진 노동시간을 70% 단축시켰으며 육묘의 품질은 한층 개선했다.

또한 협력단은 딸기농가들을 대상으로 SNS 컨설팅을 실시하고 있다. 네이버의 밴드를 이용한 스마트폰 밴드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단장은 “농가수와 방문 요구가 많아 일일이 현장 방문하여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네이버의 밴드를 이용해 컨설팅을 하고 있다”며 “딸기 같은 경우 현재 전남지역 80여 수경 및 토경 재배 딸기농가와 전남농업기술원 분야별 전문연구사들이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밴드에 참여하는 농가는 양액관리, 재배관리 및 재배기간동안에 농가들 의사결정의 지원, 생리장해, 병해충 등의 상황을 미리 체크해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다”며 “상호 농업인들 간에 경험을 주고받는 통로로도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로 농가들이 네이버 밴드로 물어오는 요구사항은 주로 △지상부 환경관리기술 및 근권부의 함수율관리, 급액량, 급액 EC 관리, 현재의 관리 상태 적정 여부 △딸기 화아분화 촉진 및 1화방 출뢰 지연 및 1화방과 2화방의 출뢰 간격

/이경한 기자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