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애등에 유충서 천연항균물질 추출
동애등에 유충서 천연항균물질 추출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11.18 14: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항생제 사용절감, 고부가산물제품 생산 기대

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등 각종 유기성 폐기물 처리에 활용되고 있는 ‘동애등에’가 천연항균물질로도 이용될 전망이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동애등에의 산업적 이용 다양화를 위한 유용 소재 개발 연구를 통해 ‘동애등에 유충’에서 병원균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물질을 추출했다고 밝혔다.
이 천연물질은 건조시킨 동애등에 유충을 곱게 갈아 0.01% 아세트산을 이용해 추출한 것으로, 이렇게 추출한 천연물질은 바로 사용해도 효과가 있으며 정제 후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천연물질 적용 실험에서 고추무름병균, 세균성잎마름병균 등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병원균과 고추세균성점무늬병균, 콩불마름병균 등 잔토모나스 속(Xantho-monas sp.) 병원균 등 식물병원균에 대해 방사상 확산 분석법(RDA)을 실시한 결과, 모든 균에서 항균 활성을 보였다.
특히, 액체 배지 20ml에 균주 20㎕를 넣고 동애등에 유충 추출물 1ml (250mg/ml)를 처리한 후 29℃에 진탕 배양하면서 2시간마다 균의 생장 정도를 확인한 결과, 16시간 이후에도 균주의 수가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바실루스(Bacillus)종과 세균성 썩음병 등 부패 관련 균에서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패균의 성장이 느려지거나 저해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추출한 천연물질을 지난해 10월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동애등에 대량생산기술’과 더불어 현장에 보급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동애등에는 병원성 미생물이 많은 곳에 서식하지만 미생물에 대한 감염이 거의 없고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는 등 자기 방어 물질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동애등에의 유충과 번데기는 조류와 가축사료, 양어사료, 낚시미끼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